기억하고 싶은 지식

초연결! 가상세계와 현실세계와의 접점?

Kokongz 2022. 6. 14. 19:41

MS 마이크로 소프트사의 Dynamic 365 커넥티드 스페이스라는 것이있습니다.

다이나믹 스페이스?

일종의 디지털 트윈 기술입니다 

트윈? 쌍둥이를 말하는 것이죠

사진에서 처럼 상점 CCTV를 통해 나의 가계에 대해 가상으로 만들어놓거나,

혹은 가상으로 나의 가계를 디자인 한 후 얼마나 유동인구가 변경되는지 알수있고,

사물을 가상세계에서 이동해 봄으로서 어떻게 될지 판단하는 도구가 될수있습니다.

그러면 의심하는 사람이 생길수 있죠!

"아니? 가상세계에서 한다고 어떻게 현실이 맞아떨어져?"

빅데이터, 인공지능(AI)을 활용하여 가장 현실과 맞게 적용하기에 현실과 굉장히 잘맞아 떨어질수 있습니다.

 

이 디지털트윈은 우리나라를 비롯 아마존, 엔비디아등 ! 다들 도전하고 있습니다.

엔비디아의 옴니버스

결국 메타버스,NFT, 코인, 통신 등등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모든 것을 현실과 결함하는 것을 말합니다.

AR,VR,MR

이것을 통해서도 더욱더 현실에 스며드는 것이구요

AR-포켓몬고

VR-메타(구페이스북) 오큘러스

MR- MS사에서 AR의 확장버전, 애플도 이방향으로 갈것같다는 예측이나옵니다.

 

또한 저런기술이 더 가까워지려면 데이터가 많아져야하는데

이부분또한 사람들이 쉽게 3D스캔을 할수있도록 다양한 회사에서도 나오고있습니다.

예시는 엔비디아의 리얼스캔 (검색하면 영상이있습니다)

 

개인용 컴퓨터,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처음나올때 우리는 무엇을 해야할지 몰랐지만

지금은 인터넷을 통해 그리고 컴퓨터를 통해 생산성의 증가가 일어났죠.

물론 그걸 사용하지 않는 분들도 계시지만요.

 

하지만 빅데이터를 통한 다양한 연결로 인해 사회는 달라질수있습니다.

(예시중 하나로 요즘에는 양봉업자들이 빅데이터를 통해

과거에는 양봉장소를 전문적으로 알려주던 사람이있었지만,

지금은 어떠한 꽃이 어디에 주로 있는지를 분석해

어플을 통해 양봉위치를 찾을 수있게 하고있습니다 - 허니엣비)

 

초연결

 

이제 배우는 것의 두려움이 없이 배움을 즐거움으로 하며 사회에 스며드는 

다양한 기술들을 받아드리며 맞춰가는 사회가 될것같습니다.

반응형